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10

내멋대로 self 왕초보사주 - 천간 壬(水), 임수 천간- 9. 임수(壬水)임수(壬水)는 양(+)의 기운을 가진 커다란 물(水)을 형상화한 것입니다. 물상적으로 큰 호수나 강, 고여 있는 큰 물, 바다 등으로 속이 보이지 않는 헤아릴 수 없는 깊은 물에 비유되곤 합니다. 계절상으로 초겨울에 해당하며 색깔상으로 검은색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십신 중에 식신(食神)의 창의적이고 생산적인 비슷한 부분을 가지고 인의예지신 중 지에 해당하며 지혜롭습니다.  임수(壬水)는 깊은 물이므로 포용하고 수용하는 기운이 강합니다. 조용한 호숫가를 떠올려보면 고요하고 평화롭습니다. 누구나에나 편안하게 기대고 싶고 쉬고 싶을 상태가 될 것입니다. 임수는 잘 받아들이고 융통성이 있습니다. 물 안에 고요히 있으면 위화감 없이 나를 둘러싸는 물처럼 친화력이 기본적으로 좋은 편입니다... 2023. 6. 26.
내멋대로 self 왕초보사주 - 천간 辛(金), 신금 천간- 8.  신금(辛金)신금(辛金)은  금(金)의 기운으로 양(+)과 음(-) 중에 음(-)의 기운을 가진 금(金)입니다. 신금(辛金)도 경금(庚金)과 마찬가지로 펼쳐진 모든 것이 수축하고 응축 기운을 강하게 가지고 있으며 늦가을과 수확을 의미합니다.나무의 성장 과정을 예로 들면, 나무의 열매가 다 익어서 떨어지는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상적으로 보석, 귀금속, 서리, 씨앗등으로 상징되며  십신 중 겁재의 속성 중 경쟁심, 냉정함은 신금(辛金)과 유사하게 나타납니다. 경금(庚金)이 가공을 되지 않은 투박한 원석이라면 신금(辛金)은 가공이 마친 완성된 보석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경금(庚金)은 상대적으로 남성스러운 이미지고 반대로 신금(辛金)은 여성스러운 기운에 더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다... 2023. 6. 23.
내멋대로 self 왕초보사주 - 천간 庚(金) 천간- 7. 경금(庚金)경금은 금의 양(+) 기를 가진 기운으로 결실을 추구하고 일을 마무리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계절로는 가을에 해당하며 물상적으로 큰 바위, 가공되지 않은 광물, 원석, 도끼, 단단한 물질, 열매등으로 나타냅니다. 십신 중에는 비견(比肩)의 성향으로 인정받고자 하는 강한 경쟁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봄에 목(木) 기운이 새싹을 틔우고 땅을 뚫고 위로 솟아오르다가 여름이 되면 화(火) 기운을 머금은 나무는 더 무성하게 이리저리 가지를 확장합니다 그러다가 가을인 금(金)의 기운이 다가오면 확장은 멈추고 그동안의 분주의 뿌린 것들을 거두어들입니다. 그래서 금은 어떠한 결실을 머금은 기운으로  나무열매로 표현되기도 합니다. 가을을 의미하면서 추수를 뜻하고 거두어들이는 모습으로 일의 마무.. 2023. 6. 23.
내멋대로 self 왕초보사주 - 천간 己 (土) 천간- 6. 기토(己土) 천간의 6번째 글자 기토(己土)는 십신 중 정인(正印)과 비슷한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자신을 제어하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토(己土)도 무토(戊土)와 마찬가지로 계절상으로는 환절기 방향으로는 정중앙을 의미 오행인 토(土) 중에서도 음(-)의 기운에 해당합니다. 기토(己土)는 높은 산인 무토(戊土)와 반대로 비옥한 땅, 문전옥답등으로 표현되고는 합니다. 무토(戊土)까지가 양(+)의 기운이 있는 상황이었다면 기토(己土)부터 음(-)의 기운이 더 강하게 발현되기 시작합니다. 음(-) 기운의 특징은 실속을 차리고, 현실적이며, 수렴하는 운동을 통해 구체적인 결실을 만들려고 한다는 것입니다. 기토(己土)는 토(土) 답게 포용력이 있지만 그럼에도 실속을 따지는 음토이기 때문에 자기중심.. 2023. 6. 22.
내멋대로 self 왕초보사주 - 천간 戊 (土) 천간- 5. 무토(戊土) 천간의 5번째 글자인 무토(戊土) 양의 토(+)에 해당하며 큰 산, 광활한 대지, 개간되지 않은 척박한 땅, 황무지의 이미지로 상징됩니다. 무토(戊土)는 편인(偏印)과 비슷한 성향이 있습니다. 토(土)는 목(木)-화(火) 양기운과 금(金)-수(水) 음기운의 중간에 있습니다.양에서 음으로 바뀌는 중간에 위치하고 방향상으로도 동서남북이 아닌 정중앙을 의미합니다. 오행 중에 토(土)는 계절 상으로는 봄 여름 가을 겨울 중 각 계절의 중간중간에 있는 환절기를 의미합니다.계절과 방향에서 알 수 있듯이 토는 모든 오행을 받아들이고 아우르는 역할을 가지고 있습니다.그중에서 무토는 토(土) 중에 양(+)의 기운을 가지고 있는 오행으로 물상으로는 큰 산으로 가장 많이 비유되는 것처럼 무토(戊土).. 2023. 6. 22.
내멋대로 self 왕초보사주 - 천간 丁 (火) 천간- 4.  정화(丁火)   정화(丁火)는 음(-)의 火이며 물상으로는 촛불, 모닥불, 달빛 등 을 의미합니다.빛보다는 열로서 더 작용을 하며 병화가 발산하는 힘이라면 정화는 유지하는 힘에 해당합니다.정화(丁火)를 문명의 불이라고도 합니다.병화(丙火)가 태양빛으로 주변 사람들 사이에서 강한 존재감을 밝히는 스타일이라면 정화(丁火)는 사람들 속에서 은은하게 빛을 바라며 강하진 않지만 그 특유의 존재감을 드러내는 타입니다.부담스럽지 않은 친화력에 이해심이 많고 은은한 온기로 사람들을 따뜻하게 대해주고 편안하게 해 줍니다.정화(丁火)는 화(火)의 속성을 가지고 있어서 사교적이고 예술성이 풍부하며 감성도 풍부합니다.사교적인 모습도 모임을 주도해 가는 모습보다는 외유내강의 온순하고 어디에든 무리 없이 섞입니다... 2023. 6. 21.
내멋대로 self 왕초보사주 - 천간 丙 (火) * 오늘은  10개의 천간 중  丙(병화)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병화는 물상적으로 태양이라고 하며 병화의 특징을 잘 나타내주고 있습니다.천간- 3. 병화(丙火) 병화는 물상적으로 태양으로 보며   불의 열기보다는 태양의 밝은 빛에 가깝습니다.  주변으로 발산하려는 기운이 강하며 멀리 도달하려는 합니다. 태양이 끊임없이 에너지는 정열적이고 적극적이고 외향 적며 거침이 없습니다. 태양 빛이 세상만물에 닿는 것처럼 병화들은 이곳저곳 바쁘게 움직이는 것을 좋아하는 행동파이기도 합니다. 그럼 에너지는 자연스럽게 모임에 리더로 혹 리더는 아니라 할지라도 사람들 사이에서 항상 주목받는 모임에 중심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병화는 태양 빛이 바로 우리에게 와닿는 것처럼 병화의 표현은 보통 진솔하고 꾸밈이 없습니다.  그.. 2023. 6. 20.
내멋대로 self 왕초보사주 - 천간 갑(甲),을(乙) *오행이 천간(하늘)에 있다고 할 때 오행별로 음(-)과 양(+)이 나눠져서 10개의 천간이 됩니다. 오늘은 갑목, 을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木火土金水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갑 (양)을(음)병(양)정(음)무(양)기(음)경(양)신(음)임(양)계(음)  천간- 1. 갑목(甲木) 갑목은 물상으로 홀로 서있는 큰 소나무라고도 합니다.   초봄 땅속 씨앗에서  땅을 뚫고 나오는 힘, 추진력입니다. 천간 10개의 글자 중 에너지가 가장 강합니다.   순수한 어린아이의 호기심이기도 합니다.굽어지지 않고 뻗어나가려는 기질이 있으며  자존심, 고집이 강합니다. 굽어지지 않으려는 기질에서 나타나듯이 장애물을 피하지 않고 정면돌파합니다. 목표지향적이며  누가 뭐래도 하고 싶.. 2023. 4. 25.
내멋대로 self 왕초보사주 - 음양오행 (木,火,土,金,水) 특징 음양오행 목, 화, 토, 금, 수  오행별 특징 정리  음(-) 양(+) 이란?  우주만물의 근원이 되는 태극으로부터  양분돼서  음(-)과 양(+) 상반된 기운이 만들 졌습니다.  음과 양은  공존하고  상대적이며 상황(공간, 시간등)에 맞춰 변화합니다.  음(-)을 상징하는 것들로  땅 여자 달, 양(+)을 상징하는 것들로  하늘 남자 해로 표현하기도 합니다.陰 음(-)여자, 땅,밤,어두음, 가을과 겨울 陽 양(+)남자, 하늘,낮,밝음, 봄과 여름음(-) 은  수렴의 기운으로 수동적, 내향적, 실리를 추구합니다.양(+)양  발산의 기운으로  능동적, 외향적,  대외적인 명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오행(五行)이란?  (목화토금수) 기운의  움직임 오행(五行)   5가지(목화토금수) 기운의  움직임이며 .. 2023. 4. 24.
내멋대로 self 왕초보사주- 난 어떤 오행(목,화,토,금,수)으로 태어났을까요? 난 어떤 오행(목, 화, 토, 금, 수)으로 태어났을까요?  자신의 생년월일로 만세력을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난 어떤 오행(목, 화, 토, 금, 수)으로 태어났을까요?  사람들은 자신에 대해 끊임없는 궁금증을 갖고 살아갑니다. 나는 어떤 성향을 갖고 있으며 남들에게 보이는 이미지, 잘 어울리는 색상, 나와 잘 맞는 사람들 혹은 도움이 되는 사람들은 누구일까 등 항상 주변상황과 미래에 대한 궁금증으로 사주상담이나 점을 보러 가본경험들은 다들 한 번씩은 있을 겁니다. 기초적인 사주지식이 있다면 좀 더 쉽게 스스로에 대해 알 수 있겠죠. 그럼 기본적으로 어떤 성향을 갖고 태어났을지 알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만세력 활용법-인터넷만세력, 구글 Play스토어 만세력어플 사용  1.  만세력어플  원.. 2023. 4. 14.
반응형